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오픈스택 기초 및 실습,Fundamentals of OpenStack

About Cloud.

○ 가상화(Virtualization)

- 서버 가상화 

: 서버통합 방법론, 이미 완료된 시장. 
1. VMware
2. MS HyperV
3. KVM(OpenSource), RHEV(레드햇)
4. OracleVM

- 네트워크 가상화

->SDN(Software Defined Network)

- 스토리지 가상화

- 에플리케이션 가상화

- OS(컨테이너) 가상화


About OpenStack.

○ What is OpenStack?

- Open source IaaS implementation
- Free open source (Apache license)software
- Ongoing, significant code contributions from many industry leaders, including HPE
- Plugable and hardware-agnostic architecture
- NSA(Nebula platform)과 Rackspace(Cloud Files platform)  사이 협업 프로젝트에서 시작됨

○ OpenStack Architecture.

Conceptual architecture

OpenStack inter-service communications

○ Nova

컴퓨팅

⊙ Nova 디자인 가이드라인

:

○ Glance

⊙ 

이미지, Swift에 저장.

○ Keystone

⊙ 

인증키

○ Neutron

⊙ 

네트워크

○ Swift

⊙ 

Object Storage

○ Cellometer

⊙ 

Block Storage

○ Horizon

⊙ 

웹기반 UI

○ Heat

Orchestrates cloud


○ REST API.

표준 운영 API,

⊙ cURL

⊙ Python


○ OpenStack 실습

⊙ VPN 연결

- VPN : Virtual Private Network






⊙ 리눅스 시스템

- MTPutty


⊙ Horizon

- Horizon 로그인 화면. (크롬으로 연결)
#회원 가입이 없다? 오픈소스 이기 때문에 개발 요소가 들어갈 필요가 있는 부분 중 하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닉스 & 리눅스 가계도. Unix&Linux Family

- Unix Family - Shell History

linux : /bin, /usr/bin 과 /sbin, /usr/sbin의 차이

/bin, /usr/bin 과 /sbin, /usr/sbin의 차이  : 모두 명령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bin       : 기본적인 명령어 , (권한 : 일반사용자) /sbin      : 시스템 관리를 위한 명령어, (권한 : root) /usr/bin  : /bin에 있는 명령을 제외한 기본적인 명령어, (권한 : 일반 사용자) /usr/sbin : /sbin에 있는 명령을 제외한 시스템 관리를 위한 명령어, (권한 : root)

라즈베리파이 커널 컴파일

- 라즈베리파이의 부트절차 1. Power on 2. SoC Rom의 첫번째 부트로더(Firmware)을 읽음. 3. 첫번째 부트로더가 MicroSD의 두번째 부트로더( bootcode.bin )을 호출 4. 두번째 부트로더가 MicroSD의 config.txt 파일을 읽고 실행. 5. 두번째 부트로더가 세번째 부트로더 ( start.elf )을 호출 실행 ARM core 활성화 6. ARM core가 네번째 부트로더( kernel.img )을 호출 실행 7. module load 8. init 실행 (daemon 실행) 부팅에 필요한 최소한의 세가지 : bootcode.bin, start.elf(start_cd.elf / start_x.elf), kernel.img - 라즈베리파이 커널 크로스 컴파일 - 커널 소스 내려받기 : 커널 소스가 필요한 이유? 임베디드 환경에 맞게 커널을 축소하기 위해서. git : sw 버전관리& 페키지를 쉽게 다운받기 위해 사용. #atp-get install git -y #git init #mkdir /raspberrypi 필요한 커널 소스 다운 및 크로스컴파일러 다운. : www.kernel.org 에서도 다운 가능. #cd /raspberrypi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libc6:i386 libncurses5:i386 libstdc++6:i386 libc6-dev-i386 lib32z1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aspberrypi/linux #export KERNEL=kernel7 make를 이용해 크로스 컴파일 시켜줌. #apt-get install gcc-arm-linux-gnueabi make #cd linux #make ARCH=arm CROSS_COMPILE=arm-linux-gnueabihf- bcm2709_...